움직이는 국가, 거란 | ||
|
| |
o 저자 | 김인희 | |
o 사양 | 신국판 | 311쪽 | |
o 분류 | 연구총서 109 | |
o 정가 | 17,000원 | |
o 발간일 | 2020년 7월 30일 | |
o ISBN | 978-89-6187-549-3 | |
|
| |
| ||
저자 | ||
| ||
도서 소개 | ||
거란이 광활한 지역의 다민족을 209년간 통치할 수 있었던 것은 한족의 정치제도와 사상을 수용하는 능력과 자신의 고유한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균형을 이루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거란은 국호, 정치제도, 군사제도, 언어와 문자, 사상, 문화 등에서 이원(二元)체제를 시종일관 유지하였다. 거란은 끝까지 유목민족의 역동성을 잃지 않은 ‘움직이는 국가’였다. 그리고 북방민족 정권 최초로 중국의 정통왕조임을 자처하였는데, 이는 이후 금을 거쳐 원, 청이 중국의 진정한 정복왕조가 되고, 중국 유일의 정통왕조가 되는 데 초석을 다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 ||
차례 | ||
제1장 최초의 정복왕조, 거란_ 김인희
제2장 움직이는 국가, 거란_ 김인희 1. 거란인가, 요인가 2. 거란의 기원과 역사 3. 민족의 습속에 따라 다스린다 4. 다섯 개의 도성, 거란 5경 5. 움직이는 행궁, 날발 6. 유목민과 농경민 사이, 거란
제3장 거란의 대외정책과 동아시아 다원적 국제질서의 세력 균형_ 윤영인 1. 거란 제국의 발흥(9세기 말) 2. 거란의 중원 전략(오대 시기, 907~960) 3. 송과의 충돌과 타협: 전연의 맹약(10세기 말~11세기 초) 4. 송과 대하의 충돌과 거란의 정책(11세기 초) 5. 거란과 고려의 관계(10~11세기) 6. 서역의 카라키타이와 동아시아세력 균형(12세기) 7. ‘정복왕조’ 거란 제국에 대한 편견을 넘어
제4장 거란의 정체성 유지와 언어문자 정책_ 이성규 1. 거란의 언어와 문자 정책 연구의 필요성 2. 거란어의 계통 3. 거란 이전 북방민족의 언어와 문자 정책 4. 거란의 언어와 문자 정책 5. 거란 문자의 활용과 한계
제5장 거란의 한인 통치를 위한 군정기구 운용_ 이유표 1. ‘정복왕조’의 등장, 거란 2. 거란의 북남면관 제도와 민족 정책 3. 거란의 군정기구 4. 군정기구의 운용: 인적 구성을 중심으로 5. 거란, ‘정복왕조’의 디딤돌
제6장 거란의 유학 수용 원인과 거란화_ 박지훈 1. 거란의 유학 수용과 한화의 문제 2. 거란 통치자들의 유학 수용 원인 3. 거란의 유학 수용 과정 4. 거란 유학의 거란족적 특징 5. 유학을 통한 거란 제국 확립
제7장 북방 민족 최초의 정통왕조, 거란-황제(黃帝) 후예설을 중심으로_ 김인희 1. 중국 학계의 거란 정통성에 대한 논란 2. 거란의 ‘중국관’ 변화와 정통성 3. 문화 중국과 거란의 정통왕조 만들기 4. 황제 후예설과 거란의 정통왕조 만들기 5. 정통왕조가 되기 위한 거란의 선택
제8장 정복왕조의 길을 연, 거란_ 김인희, 윤영인
미주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