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발해사 자료총서 -중국사료 편 권1 | |
|
| |
o 저자 | 권은주 강성봉 김진광 우성민 윤재운 | |
o 사양 | 양장본 | 668쪽 | |
o 분류 | 자료총서62 | |
o 정가 | 33,000원 | |
o 발간일 | 2023년 03월 31일 | |
o ISBN | 978-89-6187-796-1 | |
o 구입처 | 교보문고, 인터파크, 알라딘 등 | |
|
| |
| ||
저자 | ||
편찬책임자 권은주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발해사 자료총서–한국사료 편』 권1·권2(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1), 『해동성국, 고구려를 품은 발해』(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역주 중국정사 동이전 2』(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금대 발해유민 장여유 묘지명 검토–가계, 통혼망, 문격을 중심으로」(『한국고대사탐구』 34, 2020) 등
집필진 강성봉 성북문화원 사무국장 『발해사 자료총서–한국사료 편』 권1·권2(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1), 「발해–거란 전쟁의 발생배경과 전개과정」(『한국사연구』 193, 2021), 「발해 금군과 도성방어체계」(『역사와현실』 97, 2015), 「발해 수령과 고려 도령의 상관성 검토」(『고구려발해연구』 42, 2012) 등 김진광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발해사 자료총서–한국사료 편』 권1·권2(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1), 「발해의 “숙신고지”로의 팽창과 상경 방어체계」(『인문학연구』 34, 2023), 「조선시대 사서에 담긴 발해 지리 인식의 추이 검토」(『백산학보』 124, 2022), 「중국학계의 발해 고고학 연구 동향 및 쟁점」(『선사와고대』 70, 2022) 등 우성민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한중수교 30년, 한중교류의 도전과 과제』(공저, 학고방, 2022), 「당대 시박사(市舶使)를 통한 동·서해상교역과 문화적 만남에 대한 이해」(『사림』 79, 2022), 『중국 시진핑시대 교과서 국정화와 역사담론』(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1), 『한국고대사 계승 인식Ⅰ·Ⅱ』(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등 윤재운 대구대학교 교수 『발해유적총람』 1~3(예지안, 2023), 「발해사절의 문학 교류와 의미」(『한국고대사탐구』 40, 2022),「8~10세기 동유라시아 모피 무역의 실상」(『동방학』 46, 2022), 「발해 상경성의 신성한 공간–苑과 苑池」(『고구려발해연구』 71, 2021) 등
| ||
도서 소개 | ||
『발해사 자료총서』 시리즈는 국내 사료 가운데 발해사 관련 사료를 번역하고 주석한 자료집이다. 재단은 2007년 재간행한 『발해사 자료집(상·하)』을 보다 효율적이고 대중적으로 만들기 위해 사료 역주를 포함한 이 시리즈를 기획하였다. 이 책은 한국과 중국, 일본에 흩어져 있는 사료를 한자리에 모아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정식 사서류 외에도 논설집, 야담집, 시문집 등으로 다양하게 수록하여 선인들의 발해사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자료를 포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책이 수수께끼의 역사로 여겨졌던 발해사를 읽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
차례 | ||
서문 일러두기
1. 『구당서(舊唐書)』 2. 『신당서(新唐書)』 3. 『구오대사(舊五代史)』 4. 『신오대사(新五代史)』 5. 『송사(宋史)』 6. 『요사(遼史)』 7. 『금사(金史)』 8. 『책부원구(冊府元龜)』 9. 『자치통감(資治通鑑)』 10. 『통전(通典)』 11. 『당회요(唐會要)』 12.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13. 『오대회요(五代會要)』 14. 『문원영화(文苑英華)』 15. 『거란국지(契丹國志)』 16. 『문헌통고(文獻通考)』 17. 『옥해(玉海)』 18. 『송회요집고(宋會要輯稿)』 19. 『무경총요(武經總要)』 20. 『송막기문(松漠紀聞)』 21. 『요동행부지(遼東行部志)』 21. 『중주집(中州集)』 23. 『전당시(全唐詩)』 24. 『전당문(全唐文)』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