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방제도(1) 통감부 시기와 1910년대 | |
|
| |
o 저자 | 김윤정, 천지명 | |
o 사양 | 46배판 | 640 쪽 | |
o 분류 | 일제침탈사 자료총서 16 | |
o 정가 | 37,000원 | |
o 발간일 | 2022년 12월 15일 | |
o ISBN | 978-89-6187-787-9 | |
o 구입처 | 교보문고, 인터파크, 알라딘 등 | |
|
| |
| ||
저자 | ||
김윤정 전북대학교 고려인연구센터 학술연구교수 숙명여자대학교 문학박사. 주요 논저로 「1920년대 조선 사회주의 정치세력의 의회정치와 ‘지방의회’ 인식」(『사림』 69, 2019), 「1920~30년대 개성 ‘지방의회’의 특징과 인삼탕 논의」(『역사연구』 37, 2019) 등이 있다.
천지명 동국대학교 대외교류연구원 연구원 숙명여자대학교 문학박사. 주요 논저로 「일제의 거류민단법 제정과 그 성격」(『한국독립운동사연구』 50, 2015), 「1930년대 초 군산부회(群山府會)의 위원회 활동 연구」(『역사연구』 39, 2020) 등이 있다. | ||
도서 소개 | ||
이 책은 일제의 지방 지배 실태나 지방사회의 특성을 구명하는 것은 식민지 사회를 파악하기 위한 핵심적인 작업이다. 이 자료집은 1906년 지방 행정구역과 명칭, 지방관 관제 등 법령 개정 때부터 1910년 조선총독부 지방관 관제, 1914년 부제 실시, 1917년 면제 공포 등 1920년 지방제도 개정 전까지의 일제강점기 지방제도 자료를 총정리 하여 그 성격을 밝혔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 지방제도의 성격을 밝히고, 중앙 권력의 지역 침투로 파생된 지역 재편을 보여주고 있다. 이 자료집을 통해 일제강점기 지방제도의 변천과 흐름을 구체적이고 생동감 있게 이해하기를 기대한다. | ||
차례 | ||
발간사 편찬사 편역자 서문 제1부 통감부 시기의 지방제도 I 신문 기사 <해제> 1 행정구역의 개편 2 지방관제 개정 3 지방자치의 모색 4 외국인 거류지 관계 II 잡지 기사 <해제> III 실행 계획 및 내용 <해제> 1 지방제도의 연혁및 개정 2 외국인 관련 지방제도 IV 관련 법령 <해제> 1 지방제도 및 기타 관련 법령 2 외국인 거류지 관련 법령 Ⅴ 실행 결과 <해제> 제2부 1910년대 지방제도 I 신문 기사 <해제> 1 강점 직후 지방제도개정의방향 2 행정구역변경과 거류민단 폐지 3 면제 실시 II 잡지 기사 <해제> III 실행 계획 및 내용 <해제> 1 지방제도 연혁 및 개편 2 부제(府制) 실시와 부(府)・군(郡)・면(面) 폐합 3 면제 실시 IV 관련 법령 <해제> 1 지방관관제 2 면장협의회 3 공립보통학교비 4 부제(府制) 및 학교조합(學校組合) 5 면재정(面財政) 및 면제(面制) Ⅴ 실행 결과 <해제> 자료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