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 역사지도집의 개념과 제작 방법론
동북아역사재단 편 ㅣ 46배판 ㅣ 293쪽 ㅣ 2016년 12월 29일 ㅣ 11,000원
ISBN 978-89-6187-456-4 93900
차례
<1부> 역사지도집 편찬의 경험과 교훈
1. 디지털 시대의 역사지도집
■ 피터 볼
1. 역사지도집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2. 역사지도집의 목적은 무엇인가?
3. 이러한 역사지도집 과제는 어떤 원칙을 따르는가?
4. 역사지도집을 제작할 때 기술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5. 역사GIS의 도전 과제는 무엇인가?
6. 역사지도집 확산에 기술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2.《청사지도집》편찬 이론과 실천
■ 후헝
1. 중국 역사지도집 편찬의 유구한 전통
2. 시대별 첫 역사지도집-《청사지도집》편찬에 관하여
3.《청사지도집》편찬 기술 방침
4.《청사지도집》편찬 과정의 난제와 대응
5.《청사지도집》의 편찬 경험
3. 한국사지도집 편찬 과정에 대한 회고
■ 마이클 신
1. 서론
2. 지도집 프로젝트의 개요
3. 지도집의 구성 : 지도집의 유형, 형식, 내용
4. 지도집의 편찬
5. 결론
4. GIS를 이용한 <동북아 역사지도>제작 원리와 작업 과정
■ 동북아역사지도편찬위원회
1. <동북아 역사지도>편찬 사업의 개요
2. 역사지도의 특성과 역사지리정보의 속성
3. BGL과 HGL 구축을 통한 GIS DB 세트 설정
4. GPC와 GPC 코디네이터
5. 영역 구현과 GLS
6. 역사지도 도엽 구현 CHA
7.<동북아 역사지도>의 주요 특징과 YEOSI 시스템의 미래
5. 지도와 텍스트 : 창조적 긴장인가, 인지적 부조화인가?
■ 로버트 크립
6. 《베이징역사지도집》에 관하여
■ 탕샤오펑
<2부> 디지털 역사지도집의 사례들 : 역사GIS, 공간 인문학의 관점에서
1. 시간을 초월하는 영국 모습 만들기:
고지도, 인구센서스 보고서, 여행기 자료의 온라인 역사지도집으로의 통합을 사례로
■ 험프리 서덜
1. 소개
2. 통계 데이터
3. 단위
4. 장소
5. 사용자 경험
6. 결론
2. 영국 레이크 디스트릭트 지역의 역사 기록물 분석과 GIS와 언어 자료 분석 구현
■ 크리스토퍼 도날드슨
■ 이안 N. 그레고리
■ 조안나 E. 테일러
초록
감사의 글
개요
1. 지리정보시스템
2. 초기의 연구 내용들-레이크 디스트릭트 지역 지도화
3. 현재 인구-레이크 디스트릭트 작품에 담겨 있는 언어 자료
4. 단어 조합의 지리적 분석-실험
5. 결론
3. <가상의 교토> : 디지털 역사지도의 공간 인문학의 관점
■ 케이지 야노
초록
1. 소개
2.<가상의 교토>
3. 현대 교토의 지리 공간 데이터
4. 요약-협력적인 연구를 향한 디지털 인문학
4.《베이징역사지도집》의 디지털화
■ 탕샤오펑
<3부> 역사지도집 제작을 위한 주요 관점 및 논의
1. 네덜란드 역사지도집 소개:
1877~1939, 보스 아틀라스 출판사의 온라인 지도를 사례로
■ 페르얀 오르멜링
1. 서론
2. 보스 아틀라스 온라인 사이트 구축
3. 웹사이트에 요구되는 기능
4. 지도에 반영된 의도적인 편향
5. 에필로그
2. 역사지도집 편찬을 위한 새로운 기회
■ 존 레이니에 쇼트
1. 여러 가지 목소리들-다양한 관점의 역사지도집
2. 다이나믹 지도-역사의 움직임
3. 양방향 지도- 창의적인 독자
4. 스케일
5. 연결과 흐름-공간에 대한 집착을 버리는 일
6. 다양한 투영법과 이에 따른 해석
3.《네덜란드 역사지도집》편찬 과정
■ 티어 티컬러
1.《네덜란드 역사지도집》
2. 지도집의 개념
3. 연구의 출처 및 데이터 획득-지도의 정교화
4. 지도 제작의 과제
5. 결론- 역사의 부분으로서 현재와 미래
4. 한국 역사지도 제작의 주요 논점들
■ 김종혁
1. 한국 역사지도 제작 현황
2. 역사지도의 기본 구성
3. 필드 구조 설계
4. 일제 강점기 역사지도의 제작
5. 관리 데이터와 데이터의 관리
6. 맺음말
5. 역사지도 평가 기준안 개발과 평가사례-<동북아 역사지도>를 중심으로
■ 김종근 · ■ 이상균
1. 머리말
2. 역사지도와 지도학적 기준
3. <동북아 역사지도>의 지도학적 심사 기준 및 심사 내용
4. 맺음말
1. 본 홈페이지에 탑재된 파일의 저작권은 동북아역사재단이 가지고 있습니다.
2. 어떤 형태나 어떤 방법으로도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