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총서
연동하는 동아시아 문화
  • 작성일2017.02.15
  • 조회수2165

표지


도서명 : 연동하는 동아시아 문화

출판사: 역사공간│동북아역사재단 편│429쪽│2016년 12월 26일

ISBN 979-11-5707-137-1 93910

 

차례

 

총론 - 역사적 맥락에서 본 동아시아 문화의 교류와 공유

 

Ⅰ 상호인식과 세계관

1장 만다라로서의 중국 │야마무로 신이치

1. ‘격리의 파토스’가 만들어낸 중국상

2. 반사이미지로서의 일본, 그리고 공간심성

3. 교섭 중에 생겨난 공포와 모멸

4. 전문적 연구와 일반 인식의 괴리

 

2장 근대 중국의 자아 형상과 세계관 │카와시마 신

1. 들어가면서

2. 중국의 부여받은 윤곽-헌법을 둘러싼 문제

3. 일본의 ‘아시아주의’담론과 중국의 아시아론

-조공책봉론을 중심으로

4. 국민당의 아시아론과 조공·책봉인식

5. 중국의 아시아 인식에 관한 일본의 논의

6. 맺음말

 

3장 근대 일본의 중국 인식 │주린

1. 머리말

2. 나이토 코난의 일본사 인식-문화사 연구의 출발점

3.「두부 만들기」설과 「동양문화」론-쓰다 소키치의 대척점에서

4. 중국문화 본위의 「파동설」-시대구분론과 관련하여

5. 맺음말

 

4장 ‘한자문화권’의 동상이몽 │무라다 유우지로

1. ‘한자문화권’이란?

2. 한자, 한족, 중화

3. 아시아, 일본, 한자문화권

 

Ⅱ 문자와 텍스트의 교류와 연쇄

5장 “듕귁(中國)”과 “나랏말(國之語音)”의 사이│정다함

1. 머리말

2. “국어”라는 전통의 발명과 “외국어”로 다시 정의된 “한문”

3. “국어”의 기원에 내재된 “중국”의 언어/문자

4. 한문/한리문/한어로 표상되는 15세기 동아시아 ‘한자공유체’와 조선의 훈민정음

5. 맺음말

 

6장 전통시기 동아시아에 표상된 조선 허준의 『동의보감』│박현규

1. 머리말

2. 동아시아에서 『동의보감』전래

3. 동아시아에서 『동의보감』수용

4. 동아시아에서 『동의보감』출판

5. 맺음말

 

7장 일본어 연극 「춘향전」과 ‘관대한’제국의 역설 │서동주

1. 1938년 경성의 ‘춘향전 붐’

2. 표류하는「춘향전」

3. 식민제국/식민지의 분할선과 두 개의 ‘모더니즘’

4. ‘관대한’제국의 역설

 

8장 동아시아 문화 속 『구운몽』의 어제와 오늘 │사오이핑

1. 출판

2. 서명

3. 본문

4. 임무

5. 의견

 

Ⅲ 문화의 혼융과 주체성, 그리고 미래

9장 역사에서 본 한일관계와 문명전환 │정재정

1. 한국과 일본의 문명전환을 어떻게 볼 것인가?

2. 한일관계와 문명교류

3. 한국과 일본은 서로에게 어떤 존재인가?

 

10장 근대 이전 한중일 문화교류 및 국가관의 충돌 │김문경

1. 한자문화권의 특징

2. 한일의 한문 훈독 및 불경 한역

3. 일본의 범화동일론, 본지수적설, 삼국세계관

4. 한반도의 언어관과 세계관

5. 중국의 중변논쟁과 천하관의 전이

6. 동아시아의 ‘대국’이라는 마음속의 응어리

7. 맺음말

 

11장 청각매체의 ‘국경 넘기’와 타이완 음성문화의 혼잡성 │리청지

1. 청각 전파기술과 음성문화

2. 구술문화에서 음성문화까지

3. 문화의 혼잡성-‘황싼위안 풍격’의 형식에 대한 분석

4. 문화지형학-「이별」의 동아시아 여행

5. 문화 주체에서 문화지형학까지

 

12장 홍콩의 역사와 정체성, 교육과정에서의 ‘중국다움’ │에드워드 비커스

1. 역사는 민족으로부터 구출되었는가? 아니면 귀속되어 버렸는가? :

이념과 홍콩의 법적 지위 간의 모순

2. 정치에 무관심한 사회화를 위한 학교교육: 식민 유산

3. 1980년대-정체성 인식의 미세한 침투 : 국가와 지역

4. 1989~1997년 : 중단

5. 1997~2010년 : 애국적 재교육과 학교교육-굳어지는 공식 방침

6. 2012년의 도덕교육 및 국민교육에 관한 논쟁

7. 맺음말

 

13장 전후 일본의 평화운동과 일본평화학회 │엔도 세이지

1. 머리말

2. 전후 일본 평화운동의 가치지향성

3. 지식인의 평화운동으로서의 ‘평화문제담화회’

4. 일본평화학회의 설립과 전개

5. 현대일본의 평화와 평화가치

 

부록-동아시아연구포럼 연혁 자료

 

 

독자리뷰0
    • @
※ 글자수는 1000자 이내로 제한됩니다.

※등록버튼을 클릭하여 본인인증을 받으신 후 리뷰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글자수 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