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션 | 내용 | ||
|---|---|---|---|
|
1일차 11.5일(수) |
|||
| 14:00 ~ 14:30 (30') |
제1부 개회식 (3F 사파이어볼룸) |
개회사 |
김웅희 (현대일본학회장) |
|
축사 |
|||
|
초청강연 |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와해와 한일관계 - 윤영관(전 외교부장관) | ||
| 14:30 ~ 14:50 (20') |
휴식 |
||
| 14:50 ~ 16:20 (90') |
제2부 전체회의 (Plenary) (3F 사파이어볼룸) |
||
| 주제 : 국제 질서 전환기와 한일관계 60년 | |||
|
좌장 |
염재호(태재대) | ||
|
발표 |
① 국제 시스템의 구조 변화와 한일관계의 역학 – 이원덕(국민대) ②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한 한일관계와 한일외교 – 기미야 다다시(도쿄대) |
||
|
패널 |
손열(연세대) 소에야 요시히데(게이오대) 최은봉(이화여대) 이소자키 노리요(가쿠슈인대)
|
||
| 16:20 ~ 16:40 (20') |
휴식 |
||
| 16:40 ~ 18:20 (100') |
CS1 외교 / 안보 (3F 사파이어볼룸) |
||
| 주제 : 인도태평양 지역 복합 안보질서 구축 | |||
|
사회 |
박영준(국방대) | ||
|
발표 |
① 인도-태평양 시대의 한미일 안보협력 – 조양현(국립외교원) ② 지역안보와 평화구축을 위한 다자간 협력: 동티모르 PKO에서의 한일 협력의 교훈 – 이토 코타로(캐논글로벌전략연구소) ③ 한일 대북정책 비교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협력 가능성 고찰 – 김숙현(국가안보전략연구원) |
||
|
토론 |
사카타 야스요(간다외어대) 김지영(한양대) 이기태(세종연구소)
|
||
| CS2 경제 (3F 사파이어볼룸) |
|||
| 주제 : 한일 경제협력의 과거, 현재, 미래 | |||
|
사회 |
김기석(강원대) | ||
|
발표 |
① 한일 경제관계의 새로운 균형과 협력 공간: 제3국 공동진출과 수소 협력을 중심으로 – 박성빈(아주대) ② 지역무역협정·전략적 경제협의체와 한일 경제 협력 – 스즈키 가즈토(도쿄대) ③ 데이터와 AI를 둘러싼 경제 안보 제도화와 한일 협력 – 미우라 히데유키(교린대) |
||
|
토론 |
아베 마코토(아시아경제연구소) 이창민(한국외대) 윤대엽(대전대)
|
||
| CS3 역사 I (3F 사파이어볼룸) |
|||
| 주제 : 한일회담 연구의 새로운 모색 | |||
|
사회 |
남기정(서울대) | ||
|
발표 |
① 한일회담 연구사의 궤적: 2006년~2025년을 중심으로 – 엄태봉(강릉원주대) ② 한일조약 제2조의 '무효(null and void)'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인민'의 역사 의식으로부터 – 오타 오사무(도시샤대) ③ 한일국교정상화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 조윤수(동북아역사재단) |
||
|
토론 |
정혜경(아르고인문사회연구소) 요시자와 후미토시(니가타국제정보대) 유지아(원광대)
|
||
| 18:20 ~ 18:30 (10') |
휴식 |
||
| 18:30 ~ 20:00 (90') |
만찬 |
||
|
2일차 11.6일(목) |
|||
| 10:00 ~ 11:40 (100') |
CS4 역사 II (36F 버클리스위트) |
||
| 주제 : 한일관계와 역사인식 | |||
|
사회 |
이훈(한림대) | ||
|
발표 |
① 한일 양국 정부의 역사문제 인식과 대응 – 남상구(동북아역사재단) ② 한일 역사 공동연구의 전망 – 가토 게이키(히토쓰바시대) ③ 한일 시민단체의 운동의 성과와 과제 – 정은정(동북아역사재단) |
||
|
토론 |
손석의(동북아역사재단) 호리야마 아키코(마이니치신문) 박명희(국회입법조사처)
|
||
| CS5 글로벌 (36F 피콕스위트) |
|||
| 주제 : 글로벌 어젠다에 대한 한일의 공동대응 | |||
|
사회 |
전진호(광운대) | ||
|
발표 |
① 기후변화 레짐 전환기의 한일 글로벌 사우스 협력 – 강우철(한국수출입은행) ② 재해 대응 및 복구 지원에 관한 한일 협력 과제 – 야마 요시유키(간세이가쿠인대) ③ 'LINE 사태'의 복기와 한일 데이터 협력의 미래: '데이터 보호주의'를 넘어 '데이터 보호'로 – 김양희(대구대) |
||
|
토론 |
임은정(국립공주대) 김영근(고려대 글로벌일본연구원) 미무라 미쓰히로(니가타현립대)
|
||
| CS6 외교 (36F 밸뷰스위트) |
|||
| 주제 : 전략적 · 지정학적 위기 대응을 위한 한일 공조 | |||
|
사회 |
김호섭(중앙대) | ||
|
발표 |
① 지정학적 위기 대응을 위한 한일 공조: 한일공동개발구역(JDZ) 거버넌스의 제도적 전환 – 박창건(국민대) ② 동아시아의 복잡한 지리와 한일 안보협력의 방향성 – 오기 히로히토 (국제문화회관 지경학연구소) ③ 가치와 이익의 교차: 한일 외교안보 전략의 비교분석 – 오승희(국립외교원) |
||
|
토론 |
히라이와 슌지(난잔대) 최은미(아산정책연구원) 손기섭(부산외대)
|
||
| 11:40 ~ 13:00 (80') |
오찬 |
||
| 13:00 ~ 14:40 (100') |
CS7 한일 지방 교류, 지방 외교 (36F 버클리스위트) |
||
| 주제 : 한일 지방 교류, 지방 외교 | |||
|
사회 |
서종진(동북아역사재단) | ||
|
발표 |
① 한일 지방 교류의 현재·과거·미래 – 고하리 스스무(시즈오카현립대) ② 한일 지방 외교와 신뢰관계의 구축 – 석주희(동북아역사재단) ③ 한·일 역사인식의 공유를 위한 작은 실천 : 대구·히로시마 교사들의 국가를 뛰어넘은 역사 쓰기 – 박재홍(대구성광중) |
||
|
토론 |
박지환(서울대) 이이범(강릉원주대) 히로타 가쓰에(히로시마평화교육연구소)
|
||
| CS8 사회 (36F 피콕스위트) |
|||
| 주제 : 지속가능한 사회 실현을 위한 한일 협력 | |||
|
사회 |
이면우(세종연구소) | ||
|
발표 |
① 저출산 고령화 대응의 한일 비교와 협력방안 – 이지영(전남대 인문학연구원) ② 보건·건강, 불평등 정책의 한일 비교와 협력 방안 – 와타나베 유이치(일본무역진흥기구 아시아경제연구소) ③ 인구감소시대의 지역활성화를 위한 한일 협력 가능성 – 하루키 이쿠미(세이가쿠인대) |
||
|
토론 |
사사노 미사에(이바라키대) 한의석(성신여대) 강철구(배재대)
|
||
| CS9-Round Table 언론 Ⅰ * 한국언론진흥재단 (36F 밸뷰스위트) |
|||
| 주제 : 한일관계와 언론1. 과거를 짚어보다 | |||
|
사회 |
조용래(전 국민일보) | ||
|
패널 |
|
||
| 14:40 ~ 15:00 (20') |
휴식 |
||
| 15:00 ~ 16:40 (100') |
CS10 인적/문화 교류 (36F 버클리스위트) |
||
| 주제 : 한일 인적 · 문화 교류의 현재와 미래 | |||
|
사회 |
이숙종(성균관대) | ||
|
발표 |
① 과거사 갈등 속 한일정상회담의 정치 역학 : 국제 관계에서의 신뢰를 중심으로 – 윤석정(국립외교원) ② 한일 문화 교류의 전개, 현황, 특징 – 오가타 요시히로(후쿠오카대) ③ K컬처와 J컬처의 새로운 '문화융합' 양상 – 후쿠시마 미노리(나고야외국어대) |
||
|
토론 |
김남은(충남대) 허원영(목포대) 김숭배(부경대)
|
||
| CS11 학술교류 (36F 피콕스위트) |
|||
| 주제 : 한일 학술 교류의 새로운 지평 | |||
|
사회 |
장제국(동서대) | ||
|
패널 |
|
||
| CS12 언론 II * 한국언론진흥재단 (36F 밸뷰스위트) |
|||
| 주제 : 한일관계와 언론2. 앞으로의 바람직한 양국 언론의 역할은? | |||
|
사회 |
황성기(전 서울신문) | ||
|
패널 |
|
||
| 16:40 ~ 17:00 (20') |
휴식 |
||
| 17:00 ~ 18:30 (90') |
마무리회의 WRAP-UP Session (37F 가넷스위트) |
||
| 주제 : 안정적이고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구축을 위한 접근법과 협력 분야 | |||
|
사회 |
김웅희(현대일본학회장, 인하대) | ||
|
패널 |
|
||
| 18:30 ~ 18:40 (10') |
폐회식 (37F 가넷스위트) |
폐회사 |
|
| 18:40 ~ 20:00 (80') |
만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