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2024년도 몽골 역사•사회 교사 워크숍' 개최
  • 조회수 1250

 

 

2024년도 몽골 역사 교사 한국사 워크숍 단체 사진

 

 

동북아역사재단(이하 재단)은 지난 528일 몽골의 국제 울란바토르대학에서 ‘2024년도 몽골 역사 교사 한국사 워크숍을 개최했다. 몽골 역사교사 한국사 워크숍 사업은 지난 십 년간 몽골 역사·사회과 교사들의 한국사 및 한·몽 관계사 지식을 제고하고, 한국사 관련 교재를 제작 및 보급함으로써 한·몽 양국 간 상호이해와 우호 증진에 기여해 왔다올해 워크숍의 전체 주제는 근현대 한국과 몽골의 역사와 문화교류로 한·몽 양국의 역사·외교 전문가 여섯 명이 강사로, 울란바토르 시내 현직 중고등학교 교사 35명이 수강자로 참여했다.

 

첫 번째 강의를 맡은 전영욱 재단 연구위원은 19세기 중반에서 오늘날에 이르는 한국의 근현대사를 개항·식민지·국가건설·분단·경제발전·민주화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일목요연하게 설명했고, 두 번째 강의에서는 몽골과학아카데미의 에르덴바트 연구위원이 몽골 근현대사를 총 다섯 시기로 나누어 설명했다.

 

2024년도 몽골 역사 교사 한국사 워크숍 질의 응답

 

바트투르 몽골국립대 교수는 세 번째 강의에서 20세기 몽골인들의 한국 인식을 다루었다. 1910~1930년대 몽골의 신문과 도서는 한국인에 대한 일본 제국주의의 억압과 만행을 고발하고, 한국인의 항일 투쟁을 소개했다네 번째 강의에서 한국외국어대학의 이평래 교수는 20세기 전기 한국 지식인들의 몽골 인식을 고찰했다. 1920~1930년대 국내외 매체에 실린 몽골 관련 기사는 몽골 제국과 칭기스칸의 위업을 강조했다다섯 번째 강의에서 박장배 재단 연구위원은 독립운동가 이태준을 중심으로 20세기 초반의 한국과 몽골의 인적교류를 논하였고, 마지막 강의에서 우르진훈뎁 전 주한몽골대사는 1990년 수교 이후의 한·몽 관계를 회고하고 미래를 전망했다.

 

강의 후에는 열띤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식민지 수탈론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질문이 나오는 등 상당히 수준 높은 질의응답과 토론이 있었는데, 이를 통해 지난 10년간 지속해 온 몽골 역사교사 워크숍 사업의 성과를 직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몽골 역사교사 한국사 워크숍과 여기에 참가한 몽골의 역사·사회과 교사들은 미래 한·몽 관계의 발전을 위해 든든한 초석이 될 것이다.

 

 

파일
  • 파일이 없습니다.